제목 | [BK세미나] 인공지능을 활용한 슬기로운 연구생활(5/21)_장소변경 | 날짜 | 2025-05-15 | 조회수 | 279 |
---|---|---|---|---|---|
작성자 | 산업공학과 | ||||
첨부파일 | |||||
※ BK 세미나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재학생 전원 필수 참석)
- 일시 : 5.21(수) 10:30 - 초록 : 거대 언어 모델(LLM)이 AI Agent로 진화하여 학술 연구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 Deep Research를 비롯한 정보 검색 능력과 LLM 본연의 논문 작성 과정 등에서 연구 활동에 효과적으로 도움이 되고 있으며, 전용 도구들이 여럿 등장하여 활용되고 있습니다. Perplexity.ai와 SciSpace와 같은 최신 AI 도구들의 기능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이들 도구는 광범위한 학술 정보 처리에 상당한 효율성을 제공하는 반면, 특정 데이터베이스 접근 제한으로 인한 명확한 한계점도 명백합니다 [1]. 특히 최근 등장한 Deep Research는 박사급이라는 찬사와 함께 여전한 환각 등 본질적인 한계를 동시에 안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학술 논문의 심층적 분석과 문맥 이해 능력을 향상시켰으나, 전문 분야별 특화된 지식 체계 구축에는 여전히 제약이 있음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2]. 개인별 수요를 만족하는 가장 좋은 방법 중 하나는 custom GPT, 즉 GPTs를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이전에 적절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파이프라인으로 연결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의 사례를 통해 전문 분야에 최적화된 AI 도구 활용 사례를 공유하여, 기관 특화 데이터와 AI 기술의 통합이 어떻게 연구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나누고자 합니다 [4]. 본 강연을 통해 연구자들이 이러한 AI Agent를 자신의 연구 프로세스에 효과적으로 통합하여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모델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는 방법, 그리고 개인 연구 요구에 맞게 AI 도구를 조정하는 접근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함으로써, 학술 커뮤니티가 AI 기술의 최신 발전을 활용하여 연구 효율성과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